동영상 자막 [한국유교문화의 본향 안동] 자막)건축의미학 Aesthetics of architecture 유교 Confucianism 문화 Culture 선비정신 Scholar consciousness 한국유교문화의 본향, 안동 Confucian culture, homeland of South Korea, andong 정신적,문화적 길잡이, 서원 옛 선비들이 지닌 철학과 삶 학문적 정신이 깃든 안동의 서원 자연과 공존하는 선비들의 삶 21세기 재조명되는 유교문화 ; 儒敎文化 나래이션) 한 무리의 사람들이 걸음을 재촉한다. 이들이 도착한 곳은 한국전통의 유교문화를 체험하는 도산서원 전교당. 인터뷰 : 김종일 선비문화수련원 원장> 선비 정신으로써 예의와 염치를 아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지금은 우리가 어떤 자리가 높고 벼슬이 높고 돈을 많이 벌어서 사회에 기탁을 해서 많은 사람들로부터 칭찬을 받고 칭송을 받는 그런 삶 자체를 명예스럽다고 하는데요, 옛날에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옛날에는 한 세상을 살아가면서 남들로부터 손가락질 받지 않고 하늘을 우러러 봐도 부끄럽지 않은 그런 올바른 삶. 나래이션) 옛 선비들이 지닌 철학과 올곧은 삶은 수백 년 뒤에 후손들에게 고스란히 전해진다.전통 유교방식 그대로 제사의례도 체험해 볼 수 있다. 자막)도산서원 상덕사(尙德祠) - 보물 제211호 퇴계이황 선생의 위패와 월천 조목의 위패가 함께 모셔져 있음 자막)알묘례(謁廟禮) 성균관, 향교, 서원, 가묘 등에 모셔진 선현의 위패에 참배하는 의식 나래이션)최근 이곳에는 유교문화와 옛 선비를 정신을 배우고자 하는 발길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인터뷰 : 한영숙 유치원 원장> 지난달 전부터 선비에 정신에 대해서 선비문화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참 많았습니다. 그리고 이렇게 선비문화 체험연수가 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없었는데 여기 도산서원에 와서 좋은 기회를 맞이해서 체험을 해보니까 몸도 또 마음가짐도 새로운 것 같습니다. 그래서 앞으로 돌아가서 아이들을 가르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인터뷰 : 김병일 선비문화수련원 이사장> 요즘 많은 사람들이 남을 배려하지 않고 자기 편한 대로만 행동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 선비들이 하셨던 것처럼 좀 더 겸손하고 절제하고 남을 배려하고 공경하는 그런 정신 그리고 모두가 함께 잘되는 대동사회, 이런 가치가 요즘 현대인들에게 아주 가까이 다가오는 것 같습니다. 자막) 은혜를 베풀며 반드시 보답하는 인간관계의 원리를 깨닫는 선비정신 나래이션) 유교정신 선비정신의 요체는 나를 낮추는 겸손과 남을 배려하는 공경, 은혜를 베푼 사람에게 반드시 보답하는 인간관계 원리와 내가 잘해야 남에게 존경받을 수 있다는 인간사회의 진리도 그 속에 있다. 갈수록 도덕성을 상실해가는 시대. 자녀들에게 무엇을 가르쳐야할지 고민해야하는 시대. 끝이 없는 경쟁 속에서 무엇이 행복이라는 의문이 이어지는 시대. 이런 것들에 대한 해답이 바로 이곳에 있다. 선향들의 제사와 젊은 학자들의 교육을 담당하던 곳인 서원. 서원은 현대인에게 어떻게 살아야하는지에 대한 길을 안내하고 있다. 자막)유교문화의 요체, 서원 ; 書院 나래이션) 서원은 요즘으로 치면 사립대학인 셈이다. 안동에는 전국에 그 어느 지역보다도 많은 서원이 전해진다. 안동에 이렇게 서원이 많은 이유는 무엇일까? 자막)서원[書院] 조선 중기 이후 명현을 제사하고 인재를 키우기 위해 전국 곳곳에 세운 사설기관 자막)조산서원(경상북도 안동시 남후면) 조선 후기 유학자인 이상정(李象靖, 1710~1781)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 자막)역동서원(경상북도 안동시 송천동) 고려 말기 학자 우탁(禹倬, 1263~1342)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서원 나래이션) 첫째로는 안동에 명문양반 가문이 많고 그 가문에서 태어난 대 학자가 있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이가 퇴계 이황선생으로 퇴계는 서원 건립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으며 퇴계의 학문적 정신을 잇는 도산서원은 전국 서원의 중심역할을 했다. 자막)서원 건립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퇴계이황 나래이션)또한 유교에서는 지혜를 확장해 나갈 수 있는 환경적인 요소로 산과 물을 중시했는데 안동지역 주변에는 산과 계곡이 많은 것도 특징이다. 이런 지리적인 환경은 서원이 터를 잡고 자기 수양을 하며 후학을 양성하기에 더없이 좋은 배경을 제공했다. 자막)書院 나래이션) 서원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교육이다. 중앙정계에 진출하고자 했던 지방의 선비들은 당시에 정치적인 문제로 뜻을 이루지 못하자 서원에 터를 잡았다. 그리고 오로지 학문에만 힘쓰며 뜻이 맞는 동료들과 자주 강학회를 가지면서 후학을 가르쳤다. 명망과 학식이 높은 선비에게 학문을 배우기 위해 젊은 유학자들은 이곳 서원으로 모여들었고 그 정신과 학풍은 오늘까지 이어지고 있다. 인터뷰 : 김종일 선비문화수련원 원장> 옛날 선현들이 남겨주셨던 훌륭한 가르침을 오늘에 와서 다시 깨우치고, 배우고, 실천해서 반듯한 도덕사회를 만들겠다. 올바르게 실천해야 될 선비정신을 찾아내는 겁니다. 자막)유교철학인 성리학을 중시했던 서원교육 나래이션) 서원의 교육내용은 유교철학인 성리학이 중심을 이루었다. 관에서의 교육이 과거시험과 법령을 지키기 위한 규제 등에 얽매이는 것과 비교할 때 서원 교육은 사학특유의 자율성과 특수성이 존중되었다. 교수방법으론 배운 글을 소리 높여 읽고 그 뜻을 묻고 답하는 강의 기본이었다. 또 학문을 얼마나 갈고 닦았는지 평가를 했는데 평가는 성취도에 따라 대통, 통, 약통, 조통, 불통에 다섯 단계로 나누었다. 자막) 대통(大通) : 끊어 읽기가 분명하고 뜻풀이가 정통하여 여러 책을 넘나들며 막힘이 없을 경우 통(通) : 완전하지는 못하지만 그래도 끊어읽기 가능하고 한 경전에서 뜻풀이가 자세함 약통(略通) : 끊어 읽기가 능하고 한 경전의 한 장의 뜻이 통한 경우 조통(組通) : 끊어 읽기가 능하고 한 장의 뜻도 통했지만 자세히 알지는 못하는 경우 불통(不通) : 시험에 통과하지 못함 나래이션) 서원건립은 일차적으로 학문을 가르치는 것이었고 제사의 기능도 있었다. 학문의 업적이 높은 인물에 대해 정기적으로 제사를 지냈다. 서원에는 요즘의 출판실과 도서실의 기능을 하는 곳도 있다. 책의 보급과 열람이 어려웠던 시대 많은 책을 보유한 서원은 문화적인 기여도가 컸다. 지금은 서원관람객들 중에 여성들을 볼 수 있지만, 예전에 서원에는 여성들이 들어올 수 없었다. 서원에서 나갈 수 없는 것은 책. 서원에 들어 올 수 없는 것은 술, 여자등 공부에 방해가 될 것들이라 할 만큼 서원에서는 공부를 열심히 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어 있었다. 자막)도산서원에 담긴 퇴계의 경(敬)정신 나래이션) 고즈넉한 흙길을 따라가다 보면 마음은 차분해지고 생각은 깊어진다. 사색의 길을 걷다보면 어느덧 도산서원. 자막)도산서원[陶山書院]사적 제170호 1574(선조 7) 이황(李滉)의 학덕을 추모하기 위하여 그의 문인과 유림(儒林)이 세운 서원 나래이션)도산서원은 지폐에 등장했을 정도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화재이다. 자막)전교당(典敎堂) - 보물 제210호 도산서원의 강학 공간 중심에 위치한 강당으로 크기는 정면 4칸, 측면 2칸이고, 팔작지붕 단층의 목조 건물 나래이션)도산서원은 퇴계 이황의 학문과 덕행을 기리고 추모하기 위해 1574년에 지어졌다. 도산서원의 건축물들은 전체적으로 간결 검소하게 꾸며져 있어 퇴계의 품격과 학문을 공부하는 선비의 자세를 잘 보여준다. 나래이션) 도산서원은 교육시설을 중심으로 제례공간과 부속 건물로 이루어져있다. 도산서원 안에 있는 전교당은 소중히 지켜야 할 문화유산인 보물로 지정된 곳이기도 하다. 전교당은 유생들이 자기 수양과 학문을 갈고 닦는 강단으로 전교당에 앞마당 좌우에는 유생들에 기숙사가 자리하고 있다. 전교당에 걸려있는 도산서원이란 현판글씨는 당대의 명필인 한석봉이 임금님 앞에서 쓴 글씨라고 전한다. 자막)광명실(光明室) 책을 보관하는 서고이며 현판은 퇴계선생의 친필 나래이션) 도서관역할을 했던 광명실. 광명실에 글씨는 퇴계 이황의 친필이라 한다. 도산서원과 도산서당은 오늘날에도 한국 유교의 성지로써 큰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학문을 대하는 학자의 철학이 건물 안에도 고스란히 드러난다. 인터뷰 : 노은주 건축가> 도산서당은 특히 4칸 반에 실제면적도 5평 남짓한 아주 작은 집이지만 오랫동안 한국의 천원 권 지폐에 실릴 정도로 대표적인 한국건축의 대명사인데 왜 그러냐하면 이황선생께서 추구하시는 어떤 거경궁리라는 나는 상가구 상가에서 내안의 여러 가지 이념들을 채워간다는 가르침이 그 작은 건물 안에 들어가서 앉았을 때 작은 연못, 담, 마루와 자연과의 조화 이런 것들이 작지만 한국 건축을 대표할 수 있는 좋은 모범 중에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자막)퇴계이황[退溪李滉, 1501~1570]退溪李滉 ; 조선 명종,선조 시대의 문신, 정치인, 성리학자 나래이션) 퇴계 이황선생은 주자학을 집대성한 유학자로 우리나라 유학의 길을 정립하고 도산서원을 건립해 후진 양성과 학문양성에 전력하였다. 도산서원에서 멀지 않는 곳에 위치한 퇴계의 묘. 인터뷰 > 여기가 퇴계 선생님 묘소입니다. 아마 퇴계선생의 묘소쯤 되면 굉장히 화려하고 거창하게 꾸며 놓지 않겠나 이렇게 생각을 하기 쉬운데 너무나 묘가 조촐하고 아주 검소하게 묘소를 꾸며 놓았습니다. 나래이션) 조선시대 대학자의 묘치고는 소박한 모습. 여기에서도 그의 철학과 사상을 엿볼 수 있다. 자막)퇴계철학의 핵심은 경(敬) 나래이션) 퇴계 철학의 핵심은 경이다. 사람은 누구나 자기 삶의 주인으로서 스스로를 다스려야 하고 이런 마음가짐을 실천할 수 있도록 자신을 낮추면서 상대를 배려하는 태도가 바로 경이다. 경은 가르침과 배움의 공간에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생활과 삶 전반에 걸쳐 영향을 주는 정신이기도 했다. 그래서 퇴계는 제자들에게 벼슬보다는 사람됨을 더 중요하게 가르쳤다. 자막)퇴계종택[退溪宗宅]경상북도-기념물 제421호 조선 중기 문신이며 대학자인 퇴계 이황(1501~1570) 선생의 종가 나래이션) 도산서원 근처에 퇴계 종택이 있다. 퇴계 16대손인 이근필옹이 종택을 지키며 살고 있다. 이근필옹은 지금도 도산서원을 찾아와 한국의 정신을 배우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퇴계 사상을 전한다. 인터뷰: 이근필옹 퇴계 16대손> 저는 제 나름대로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한가지씩만 발표를 해가지고 서로 나누면 스물세가지의 아름다움을 알 수가 있습니다. 그래서 여기 춘택이란 것은 봄의 은택이라는 것입니다. 봄에 은택이라 하면 봄은 대지에 오면요 얼어있던 땅을 녹여주죠. 그다음에 앙상한 가지에 잎을 피우고 꽃을 피웁니다. 그런데 봄은 미운 땅 고운 땅을 안 가립니다. 그와 같이 우리가 봄은 은택과 같이 우리도 미운사람 고운사람 없이 구별하지 말고 고루고루 베풀면 우리가 얼마나 행복하게 살수가 있느냐 이런 이야기. 이 하찮은 종이 한 장 받아주시면 고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나래이션) 서로 자신이 더 낫다고 자랑하고 남보다 내가 더 좋은 것을 더 많이 가지길 바라는 욕심이 넘치는 세상. 자신을 낮추고 지위에 높고 낮음에 상관없이 많이 가지고 덜 가진 것에 상관없이 다른 사람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퇴계의 정신은 우리가 이어나가야할 소중한 정신적 유산이다. 자막)남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퇴계정신은 우리가 이어가야 할 소중한 정신적 유산 자막)유고정신이 깃든 서원 건축의 미학 자막)병산서원[屛山書院] 안동시 풍천면 - 사적 제260호 서해 류성룡柳成龍)의 학문과 업적을 기리기 위해 지은 곳 나래이션) 하회마을에서 좁은 길을 따라 들어가다 보면 운치 있게 자리 잡은 병산서원을 만날 수 있다. 병산서원은 안동의 서원 중에서도 한국 건축에 백미로 꼽는 아름다운 서원이다. 병산서원은 서애 류성룡선생의 제자 정경세가 지은 것으로 풍광이 아름답고 개개의 건물과 전체의 구성. 그리고 주변자연과 어우러지는 배치가 무척 뛰어난 전통 건축물이다. 인터뷰 : 노은주 건축가> 한국 건축을 대표하는 건축 중의 하나이고요 병산서원이 일반인이나 건축가에게 많이 알려져 있는데 유교건축의 대표적인 어떤 서원 양식을 만들어낸 어떤 건물 중 하나고요, 경사지라는 자연을 이용해서 거기에 자연스럽게 필요한 건물들이 자연스럽게 앉아있고 그런 개념적인 어떤 부분과 실제로 지어진 과정에 있어서의 그런 부분들이 한국 건축의 교과서라고 할 수 있 수 있을 정도로 배울 수 있는 그런 건축입니다. 나래이션) 병산서원은 서원과 마주보는 병산을 마치 서원의 정원처럼 끌어 안고 있어 혹해한 인상을 준다. 그 속에는 자연의 풍경을 건축물의 일부로 수용했던 조상들의 지혜가 숨어있다. 이를 통해 지배기능과 아름다운 효과를 극적으로 높일 수 있었다. 만대루는 병산서원에서 가장 많이 알려진 건물로써 건축가 조형미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건물이다. 만대루는 서원에서 공부하는 이들의 휴식공간이자 학습에 공간인데 병산서원을 대표하는 매우 아름다운 건축물이다. 인터뷰 : 노은주 건축가> 병산서원을 진입하면서 복례문을 지나 가장먼저 만나게 되는 것이 만대루라는 건물인데 그 건물을 통해서 지나가면서 전체적인 어떤 진입한 사람들로 하여금 숙연해지는 과정에서 특징이 있고요, 올라가서 돌아 봤을 때 병산이라는 것이 굉장히 큰 자연인데 그것을 직접적으로 맞닥뜨리는 것이 아니라 만대루를 통해서 맞닥뜨리므로써 한국 교육의 차경이라는 수법인데 그 수법을 통해서 자연을 한번 걸러서 만나게 하는 어떤 건축적인 장치이거든요. 그런 부분들 때문에 건축적으로 가치가 있다고 많이 평가를 하고 있습니다. 자막)만대루(晩對樓) 나래이션) 200명의 유생을 거뜬히 수용할 수 있도록 규모가 큰 만대루. 그러나 크기나 유형보다는 자연스러움이 더 큰 매력이다. 굵은 기둥은 휘어진 모습 그대로 다듬지 않은 목재는 질서없이 제각각이지만 오히려 자연과 더욱 조화롭다. 자막)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담은 만대루 인터뷰: 임형남 건축가> 그 만대루는 보면 굉장히 긴 건물처럼 느껴지는건데 절대적 길이로 볼 때 그리 긴 것은 아닌데 다른 건물과 관계 속에서 수평적으로 보이게 조화가 돼 있고요, 그다음 안에 있는 기둥이나 모든 부재료들이 정절이나 사찰에서 쓰는 어떤 정리된 그런 기둥의 느낌보다는 자연스럽게 느껴질 수 있도록 그 치목을 할 때 인공의 맛을 최소화 시켰고. 나래이션) 만대루 기둥을 통해 펼쳐지는 경치는 보는 이로 하여금 다른 차원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게 한다. 한국건축은 바깥에서 바라보는 대상이 아니라 안에서 밖을 내다보는 것이 중요하다. 자막)자연 그대로를 보여주는 병품 나래이션)만대루에 올라서서 보면 강물과 병산과 하늘이 병풍처럼 펼쳐지며 자연 가운데 묻혀있는 느낌을 갖게 한다. 만대루는 자연과 하나가 된 극적인 느낌을 주는 절묘한 공간 배치를 하고 있다. 자막)복례문(復禮門) 병산서원 입구 나래이션) 병산서원을 들어갈 때 처음 만나는 것이 복례문이다. 이름 그대로 예에 들어가는 문인 것이다. 인간은 사회적인 존재이고 사회는 질서가 있어야한다. 그 질서가 곧 예이다. 자막)자연을 배경으로 자리 잡은 병산서원 나래이션)아름다운 자연을 배경으로 자리 잡은 병산서원. 예는 위기가 철저한 병산서원에 건축적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인터뷰 : 임형남 건축가> 병산서원은 유교 교육기관인 서원이 만들어진 전 초기의 서원입니다. 나중에 서원들이 보면 굉장히 딱딱해지고 교리에 의거한 굉장히 일직선의 축에 의해 형성되는데 병산서원은 그 이전에 굉장히 자유분방하고 자연스러우면서도 전혀 자신들이 추구하는 유교적 교리에 어긋나지 않는 그런 공간을 만들었습니다. 나래이션) 조선시대 유학자들은 몸과 마음을 가다듬어 유학에서 의미하는 최고의 정신상태. 즉 자연과 하나가 되는 상태에 이르고자 했다. 자막)유교건축의 이상을 담아낸 공간 병산서원 나래이션)병산서원은 유교건축의 이상을 담아낸 공간이다. 조선시대 대표적 사학 교육 기관이었던 서원. 서원은 수백 년이 지난 지금에도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전통에 가치와 사회 구성원으로써의 올바른 도덕적 가치관을 일깨워주고 있다. 나래이션) 서원의 뜰을 거닐면 학문에 대한 진지한 성찰로 자신을 갈고 닦는 선비가 말을 걸어 올 것 만 같다. 그리고 유생들이 읽는 글소리가 우리 마음속으로 들어온다. 자막)건축의미학 Aesthetics of architecture 유교 Confucianism 문화 Culture 선비정신 Scholar consciousness 한국유교문화의 본향, 안동 Confucian culture, homeland of South Korea, andong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