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탑
- 안동思
- 전탑
- 전탑 개요
- 이름 : 전탑 개요
ㆍ전탑의 고장, 안동
예로부터 안동은 각 시대의 문화유산을 골고루 보유한 영남지역 문화보고이다. 그 가운데 전탑은 찬란한 불교문화를 독자적으로 꽃피웠음을 보여준다.
전탑은 목재나 석재보다 재료를 공급받거나 생산해 내는 데 어려움이 따르고, 비슷한 형태와 크기의 벽돌을 사용하여 축조해야 하는 기술상의 난점이 있다. 또 벽돌 틈 사이의 빗물이나 습기로 인해 영구성이 떨어지는 단점 등이 있어 현존하는 전탑은 모두 합쳐 보아야 불과 몇 기에 지나지 않는다. 이는 현재 우리나라 전체 탑파가 1,400~1,500기에 이르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처럼 얼마 남지 않은 전탑은 특이하게도 안동에 집중적으로 남아 있다. 안동지역에는 거의 원형에 가까운 상태로 보존되어온 3기의 전탑을 비롯하여, 형체는 많이 사라졌지만, 전탑이 조성되었던 곳임을 알 수 있는 전탑지가 4곳 정도 남아 있다. 현존 전탑으로는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국보 제16호 신세동 칠층전탑, 2층 남쪽 면에 2구의 인왕상을 새긴 보물 제56호 동부동 오층전탑, 화강암과 벽돌을 혼용하여 조성한 보물 제57호 조탑동 오층전탑이 남아있다. 또한 전탑지로는 태풍으로 거의 무너진 금계동 전탑지, 산지형 전탑인 옥산사 전탑지, 철저하게 파괴된 개목사 전탑지, 연화 및 당초 문양의 전탑으로 조성되었던 임하사 전탑지가 있다.
전탑은 목재나 석재보다 재료를 공급받거나 생산해 내는 데 어려움이 따르고, 비슷한 형태와 크기의 벽돌을 사용하여 축조해야 하는 기술상의 난점이 있다. 또 벽돌 틈 사이의 빗물이나 습기로 인해 영구성이 떨어지는 단점 등이 있어 현존하는 전탑은 모두 합쳐 보아야 불과 몇 기에 지나지 않는다. 이는 현재 우리나라 전체 탑파가 1,400~1,500기에 이르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이처럼 얼마 남지 않은 전탑은 특이하게도 안동에 집중적으로 남아 있다. 안동지역에는 거의 원형에 가까운 상태로 보존되어온 3기의 전탑을 비롯하여, 형체는 많이 사라졌지만, 전탑이 조성되었던 곳임을 알 수 있는 전탑지가 4곳 정도 남아 있다. 현존 전탑으로는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국보 제16호 신세동 칠층전탑, 2층 남쪽 면에 2구의 인왕상을 새긴 보물 제56호 동부동 오층전탑, 화강암과 벽돌을 혼용하여 조성한 보물 제57호 조탑동 오층전탑이 남아있다. 또한 전탑지로는 태풍으로 거의 무너진 금계동 전탑지, 산지형 전탑인 옥산사 전탑지, 철저하게 파괴된 개목사 전탑지, 연화 및 당초 문양의 전탑으로 조성되었던 임하사 전탑지가 있다.
본 콘텐츠는 단순 시청용으로 다운로드 가능하며, 타 용도 활용시에는 저작권법에 의거 반드시 사전 동의를 얻어야 함을 안내드립니다.
플래시 파일을 보시려면 하단의 뷰어다운로드에서 곰플레이어를 다운로드 후 이용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