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의 전설과 유래

쉽고 간편하게 이용하는 민원서비스

  • 마을나들이
  • 마을의 전설과 유래
  • 글자크기 크게조정
  • 글자크기 작게조정
  • 본문인쇄 새창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개곡리(皆谷)

  • 이 마을은 고려말에 사복재(思復齋) 권정(權定) 선생이 접거(接居)하였으므로 접실이라 하며 안동 김씨와 밀양 박씨의 동성 마을이다. 이 마을은 골마와 덕마로 나누는데 별신굿이나 동채싸움을 할 때는 골마와 덕마로 나누어서 겨룬다. 예부터 맛 좋은 무가 생산되어 왕께 진상했다고 한다. 영조께서 접실 무가 맛이 좋다는 이야기를 듣고 신하에게 그 무를 구해 오라 했더니, 신하는 안동 접실까지 가지 않고 동대문 시장에서 구해 왕에게 바쳤다. 왕께서 접실 무인가를 확인하기 위해 장물에 담가 보니 보통 무와 같으므로(접실 무는 장물에 담그면 무 전체가 간장을 빨아 들임) 즉석에서 처형하였다고 한다. 접실 마을 앞 밭 전체가 무를 재배해도 다 그런 것이 아니고 2, 3필지가 그러하다고 전해지고 있다.

검암리

  •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대야리를 병합하여 검암리라 하였다. 이 마을은 400여 년 전에 순천 김씨가 개척하였고 마을 뒤에 검은 바위가 있어서 검바우라 했으며 이곳은 선비들이 모여서 소일하던 곳이기도 하다. 특산물로는 무와 배추이고, 맛이 좋아서 옛날 임금님께 진상하였다고 전한다.

대계리

  • 2021.9.24. 검암1리를 검암리로, 검암2리를 대계리로 행정 리 명칭이 변경 되었다. 마을 앞으로 낙동강과 미천(湄川)의 물줄기가 만나 합쳐진 후 다시 흘러감으로 “대계(大溪)”라 하였으며, 낙동강을 숫물, 미천을 암물이라 하고 두 강이 만나 형성된 넓은 백사장에서 뜸질을 하면 만병에 좋다고 외지에서 많은 사람들이 찾아 왔었다. 입향조(入鄕祖) 연수제공(鍊修齊公)이 조선 선조 신사년(1581년)에 입향한 이래 현재까지 (신)안동김씨 집성촌을 이루고 있으며, 속음(俗音)으로 “한개(계), 행개(계)”라 불리고 있다. 

고상리

  • 이 마을은 본래 남후면 지역으로 고일 위쪽이 되므로 웃고일 또는 상고곡, 상고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납시리, 중방리, 흠실 등을 병합하여 고상리라 한다.

고하리(古下里)

  • 이 마을은 고일 아래쪽에 있다고 아랫고일, 하고곡, 하고동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갈곡, 신기, 덕곡, 죽리를 병합하여 고하리라 한다.

광음리

  • 이곳은 넓고 큰 바위가 여러 곳에 산재하고 있어 광암이라 하던 것이 변하여 광음이 되었다 한다. 예부터 광음 열두 동네라고 하는 말은 자연마을이 많다는 뜻이고, 광음리는 중앙선 철도와 미천(眉川) 및 5번 국도를 함께 접하고 있는 곳이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구리, 암산, 신기, 장성배기, 원당곡, 한곡 등을 합하여 광음리라 한다.

단호리

  • 이 지역은 본래 서선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고현과 오미를 병합하여 단호리라 하여 풍산읍에 있었으나 지금은 남후면이다.

무릉리

  • 이곳은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동트골, 중산, 몽곡, 묵느므를 병합하여 무릉리라 한다. 이곳은 면소재지로서 학교, 면사무소, 지서 등이 있다.

상아리

  • 원래 아틈실(阿谷)은 상아리와 하아리을 통칭하는 명칭이다. 위쪽에 있다 하여 웃아틈실이라 하고, 아랫쪽에 있다고 해서 아래아틈실이라 부르고 있다.

하아리

  • 아틈실(阿谷) 아래쪽에 위치한 하아리 전체를 아래아틈실이라 부르며 다음과 같은 작은 마을을 통틀어 일컫는 마을이다.

남후면 054-840-4302

현재 페이지의 정보 및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