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메뉴

안동시 농업기술센터

음식/문화

음식/문화

한국음식의 특징

  • 음식/문화
  • 한국음식문화
  • 한국음식의 특징

주식과 부식이 어우러진 공간전개형의 상차림, "한국음식"

한국
음식

공간전개형의 한국상차림

* 사진. 공간전개형의 한국상차림

음식은 문화다

한 민족의 음식문화는 그들이 살고 있는 지역의 자연조건에 따라서 기본적인 틀이 이루어지고 사회 환경의 영향을 받으며 변천과 발전을 거듭하게 된다.

우리나라도 이러한 자연적, 사회적 환경에 따라 한국 음식문화의 고유한 특성을 지니게 되었다. 한반도는 지리적으로 삼면이 바다로 되어 있으며 북쪽으로는 만주대륙 요하 유역까지 연결되어 있어서 일찍이 북방문화가 전래되었으며, 남쪽으로는 삼면이 바다이기 때문에 해양문화도 일찍부터 발달하였다. 이러한 지리적인 여건 때문에 13세기 이전까지는 북방음식의 유입이 주종을 이루었다가 이후에는 남방계 식품과 조리법이 유입되었으며 근대에 이르러서는 서구의 음식문화가 도입되어 한국음식문화의 다양성이 생성되었다.

공간전개형의 한국상차림
고등어자반과 흰쌀밥
비빔밥

주식과 부식의 상차림

사계절이 제공한 주식, "밥"

기후적으로는 사계절이 확연하게 구분되는데, 여름의 고온 다습한 기후는 작물 생산에 있어서 미작중심의 쌀농사를 가능케 하여 쌀밥을 주식으로 삼도록 하였다. 쌀밥을 주식으로 함에 따라 이에 대한 부식으로서 밭에서 갖가지 곡류와 채소류를 재배하여 이용하게 되고 굴곡이 많은 해안에서 조개류를 비롯하여 갖가지 어물, 해조류를 채취하여 여러 가지 찬을 만들어 부식으로 곁들여 먹게 되었다.

우리나라의 기후와 지리적 특성이 한국음식의 가장 기본적인 주식과 부식을 구분하는 특징을 이루도록 한 것이다.

잡곡밥
북쪽 지방-잡곡밥, 남쪽 지방-쌀밥

지형적으로도 국토가 남북으로 길고, 동서로 좁은 지형이어서 북부지방과 남부지방은 기후에 큰 차이가 있으며, 동서남북의 지세와 기후여건이 매우 다르므로 그 고장의 산물이 각각 다르고 문화적인 특성과 사는 사람들의 성품 또한 달라 각각 특색 있는 향토음식이 생겨나게 되었다.

북부지방은 산이 많아 밭농사를 주로 하여 잡곡의 생산이 많고, 중서부와 남부 지방은 쌀농사를 주로 하므로 쌀밥을 주식으로, 북쪽 지방과 중동부 산악지역은 주식으로 잡곡밥을 먹게 되었다. 부식으로는 전국 어디에서나 좋은 반찬이라 하면 고기를 상찬(上饌)으로 꼽지만, 평상시에는 대부분 채소류가 중심이므로 저장하여 두고 먹을 수 있는 김치류, 장아찌류, 젓갈류, 장류가 발달되었다.

이러한 한국음식의 특징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식사는 준비된 음식을 모두 한상에 차려놓고 먹는다. 음식을 한 가지씩 차례로 먹는 중국이나 서구(西歐)의 시간전개형(時間展開形) 식사법과는 달리 모든 음식을 한 상에 차려놓고 먹는 공간전개형(空間展開形) 식사법이다.
  2. 주식과 부식으로 구분된다. 밥을 주식으로 하고 각종 반찬을 부식으로 하며 국물이 있는 음식, 특히 뜨거운 것을 즐겨 먹으므로 식사 시에는 반드시 수저를 사용한다.
  3. 조리법이 다양하여 국, 찌개, 전골, 회, 구이, 조림, 볶음, 튀김, 전, 생채, 숙채, 김치, 장아찌, 젓갈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음식을 만들어 먹는다.
  4. 술, 젓갈류, 장류, 김치류 등 저장식품 및 발효음식이 발달하였고, 특히 장류는 한 가정의 음식 맛을 좌우하며, 그 집안의 길흉을 가늠하는 잣대로도 여겨졌다.
  5. 궁중음식과 반가음식, 서민음식을 비롯하여 각 지역마다 다른 향토음식이 발달되어 전승되고 있다.
원고 : 한재숙 원장(경북여성정책개발원)

농촌지원과 권은혜 054-840-5628

현재 페이지의 정보 및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