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메뉴

안동시 농업기술센터

음식/문화

음식/문화

음식디미방

  • 음식/문화
  • 안동의 고 조리서
  • 음식디미방

최초의 한글조리서 「음식디미방」

「음식디미방」은 정부인 안동장씨가 집필한 조리서로 음식문화를 전공하는 학자들 대부분이 주저 없이 우리나라 최고의 식경으로 꼽는 책이다. 더구나 순 한글로 쓰여 있어 누구나 쉽게 접근이 가능하면서도 우리의 빼어난 전통음식 조리법의 정수를 보여주는 책이다. 총 146가지의 방대한 조리법이 소개되어 있어 한국 음식사 연구의 기본 자료로서 가치를 지니고 있을 뿐만 아니라 순 한글로 쓴 책이어서 17세기 중세국어, 특히 경상북도 북부방언을 연구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음식디미방의 면병류편
음식디미방의 면병류편

이 책은 1670년 경 「수운잡방」보다 1세기 이상의 후대에 경북 영양군 이시명의 처 정부인 안동장씨(貞夫人 安東張氏)가 한글로 쓴 조리서로서 일명 「규곤시의방」 이라 한다.이 때 ‘디미’라는 것은 ‘더미’로 여러 가지 라는 뜻으로 여러 가지 음식의 맛을 내는 방법이라는 의미이다. 「규곤시의방」이란 제목은 책의 격식을 갖추기 위해 저자의 부군이나 후손이 표지에 쓴 것으로 보인다. ‘규곤’이란 여자들이 기거하는 안방의 뜻으로 ‘여자들의 길잡이’라고 볼 수 있다.

한문으로 된 「요록」, 「치생요람」, 한글로 된 「주방문」 등과 연대가 비슷하고, 「산림경제」보다 수십년 앞선 것이다. 남성에 의해 한문으로 쓴 조리서들이 중국의 조리서들을 전재해 놓은 것이 많은데 비하여 이 책은 경상도의 한 가정주부가 예부터 전해 내려온 음식과 스스로 개발한 조리법을 그대로 기록하여 후손들에게 자기 집의 전통적인 조리법을 전해 주려고 한 것이 특징이다. 이 책은 현재까지 알려진 한글로 된 최초의 구체적인 조리서이고, 개화기 이전의 여성에 의해 쓰인 책이다. 전해지는 것은 궁체필사본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원고 : 한재숙 원장(경북여성정책개발원)

영농지원과 054-840-5627

현재 페이지의 정보 및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