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주법」의 구성
이 책에는 「수운잡방」, 「음식디미방」에는 없는 약밥, 잣죽이 나온다. 그리고 격조를 갖춘 음청류의 제호탕, 수단과 조선시대 궁중에서 잔치 때 마련했던 합병, 두텁단자, 전약법이 기록되어 있다. 이 밖에도 궁중 음식이 많이 소개된 것을 미루어 볼 때 저자는 서울에서 높은 벼슬에 있었던 분으로 추정되기도 한다.목록
표를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에서만 적용)
분류 | 조리명 |
---|---|
주류(46) | 급주, 하절삼일주, 향감주, 이화주(3), 녹미주, 녹파주, 정향극렬주, 청명주, 감점주(3), 하향주, 정향주, 석향주, 구가주, 청명불면주, 황금주, 소국주, 열주, 신방주, 오호주, 감향주, 사절주, 방세주, 지주, 삼해주(2), 삼해주(2), 서왕모유옥 경장주, 지주, 지황주, 천문동주, 오가피주, 소자주, 구기자주, 창출주, 안명주, 백자주(3), 송엽주, 계당주, 백화주, 국화주, 연엽주(2), 포도주, 과하주, 과하절미주, 적선소주, 사미주, 소주 많이 나는 법 |
주식(2) | 약밥, 잣죽 |
장(2) | 즙장, 잡장 |
부식류(10) | 동아채, 열구자탕, 제육장만하는 법, 제육새끼집, 늙은 쇠고기 삶기, 강선탕, 누치 먹는 법, 토란탕, 표고·진이탕, 메밀 줄기 김치 숙채 |
음청류(2) | 음청류(2) |
병과류(8) | 두텁단자, 전약법, 약과법, 연사과, 강정, 밤다식, 송화다식, 동아정과 |
조약법(9) | 신선 천문동 먹는 법, 창출환, 주자 독서환, 용안불로방, 총명탕, 사미주, 감창약, 창중약, 초학의 |
기타 | 생육회, 어육회, 건어육, 두부 등 |
참고 : 경상도의 식생활문화, 윤숙경 교수
참고 : 2008 안동음식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학술세미나, 윤숙경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