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너뛰기 메뉴

안동시 농업기술센터

음식/문화

음식/문화

책내용

  • 음식/문화
  • 안동의 고 조리서
  • 수운잡방

「수운잡방」의 구성

이 책은 총 121항, 상·하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다른 글자체 및 필체에 따라 구분해 볼 때 1~86항(상편)과 87~121항(하편)으로 나눌 수 있다.
  • 상편에는 주류 41항, 식초 5항, 김치 14항, 장류 7항, 과정류 1항, 파종 5항 등이 있다.
  • 하편에는 주류 18항, 김치 3항, 과정류 2항 등 기타 조리법이 11항이 기록되어 있다.

조리별 내용

  • 주류

    총 121항 중 주류는 59항이며 상편주류 41항 중 약용주가 5항이고, 하편주류 18항 중 약용주가 5항이며 가미주와 가향주가 각각 1항씩이다. 내용을 보면 각각의 특징을 지닌 술을 만들기 위해 쌀을 이용하는 법, 누룩을 만드는 법, 술을 만드는 기간, 각 술의 특성 등이 각각 기술되어 있다.

  • 식초(醋)

    상편에 5항이 있는데 고리초, 사절초, 병정초, 창포초, 목통초 등에 초의 다양한 종류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제조법이 기술되어 있다.

  • 김치

    상편에 14항과 하편에 3항 등 모두 17항이 있는데 사용된 채소의 종류와 양념의 종류, 그리고 물의 사용법, 발효법, 김치를 담그는 시기 등 김치를 담그는 모든 사항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 장류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메주를 쓰고 장을 담그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상,하편에 모두 11가지가 설명되어 있다.

  • 기타

    이 외에도 국수 빼는 법, 다식을 만드는 법, 엿을 만드는 법, 음식을 저장하는 법, 식혜를 만드는 법, 파종하는 법, 타락(야구르트의 일종) 등 다양하고도 독특한 내용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목록

표를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에서만 적용)

수운잡방 목록의 분류, 조리명을 안내하는 표입니다.
분류 조리명
주류(41) 삼일주, 하일청주,하일점주, 일일주, 보경가주, 이화주(2), 사오주, 만전향주, 칠두주, 감향주, 하일약주(2), 녹파주, 하일점주, 백화주(2), 류화주, 오두주, 동하주, 감향주, 정향주, 십일주, 동양주, 남경주, 진상주, 예주, 황금주, 경장주, 향료방, 세신주, 상실주, 삼해주, 벽향주(3), 두강주, 소곡주(2), 아황주, 칠두주, 오승주, 별주, 삼오주(2), 도화주, 삼오주, 백자주, 호도주, 지황주, 도인주, 백출주, 오정주, 송엽주, 애주, 건주, 황국화주, 포도주, 진맥소주
식초(6) 고리 만드는 법, 고리초 만드는 법, 사절초, 병정초, 창포초, 목통초
김치(15) 청교침채법, 침백채, 토란경김치(고운대김치), 김동아구장법, 과저, 또 다른 과저, 수과저, 노과저, 치저, 납조저, 무김치, 파김치, 동치미, 향과저, 겨울 나는 갓김치
장류(11) 즙저, 즙장만들기, 또 다른 즙저, 조장법, 또 다른 조장법, 또다른 조장법, 청근장, 기화장, 전시, 봉리군전시방, 수장법
식해(1) 어식해
과정류(5) 동아정과, 생강정과, 전약법, 전곽법, 다식
탕류(6) 서여탕, 전어탕, 분탕, 삼하탕, 황탕, 삼색어아탕
국수(1) 습면법
저장(2) 생가지, 배
기타(8) 더덕좌반, 육면, 두부, 엿만들기, 타락, 장육법, 모점이 전계아법
파종(5) 오이, 생강, 머위, 참외, 연근
참고 : 경상도의 식생활문화, 윤숙경 교수
참고 : 2008 안동음식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학술세미나, 윤숙경 교수

영농지원과 054-840-5627

현재 페이지의 정보 및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