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운잡방」의 구성
이 책은 총 121항, 상·하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다른 글자체 및 필체에 따라 구분해 볼 때 1~86항(상편)과 87~121항(하편)으로 나눌 수 있다.- 상편에는 주류 41항, 식초 5항, 김치 14항, 장류 7항, 과정류 1항, 파종 5항 등이 있다.
- 하편에는 주류 18항, 김치 3항, 과정류 2항 등 기타 조리법이 11항이 기록되어 있다.
조리별 내용
- 주류
총 121항 중 주류는 59항이며 상편주류 41항 중 약용주가 5항이고, 하편주류 18항 중 약용주가 5항이며 가미주와 가향주가 각각 1항씩이다. 내용을 보면 각각의 특징을 지닌 술을 만들기 위해 쌀을 이용하는 법, 누룩을 만드는 법, 술을 만드는 기간, 각 술의 특성 등이 각각 기술되어 있다.
- 식초(醋)
상편에 5항이 있는데 고리초, 사절초, 병정초, 창포초, 목통초 등에 초의 다양한 종류에 대한 설명과 더불어 제조법이 기술되어 있다.
- 김치
상편에 14항과 하편에 3항 등 모두 17항이 있는데 사용된 채소의 종류와 양념의 종류, 그리고 물의 사용법, 발효법, 김치를 담그는 시기 등 김치를 담그는 모든 사항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 장류
우리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메주를 쓰고 장을 담그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상,하편에 모두 11가지가 설명되어 있다.
- 기타
이 외에도 국수 빼는 법, 다식을 만드는 법, 엿을 만드는 법, 음식을 저장하는 법, 식혜를 만드는 법, 파종하는 법, 타락(야구르트의 일종) 등 다양하고도 독특한 내용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목록
표를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모바일에서만 적용)
분류 | 조리명 |
---|---|
주류(41) | 삼일주, 하일청주,하일점주, 일일주, 보경가주, 이화주(2), 사오주, 만전향주, 칠두주, 감향주, 하일약주(2), 녹파주, 하일점주, 백화주(2), 류화주, 오두주, 동하주, 감향주, 정향주, 십일주, 동양주, 남경주, 진상주, 예주, 황금주, 경장주, 향료방, 세신주, 상실주, 삼해주, 벽향주(3), 두강주, 소곡주(2), 아황주, 칠두주, 오승주, 별주, 삼오주(2), 도화주, 삼오주, 백자주, 호도주, 지황주, 도인주, 백출주, 오정주, 송엽주, 애주, 건주, 황국화주, 포도주, 진맥소주 |
식초(6) | 고리 만드는 법, 고리초 만드는 법, 사절초, 병정초, 창포초, 목통초 |
김치(15) | 청교침채법, 침백채, 토란경김치(고운대김치), 김동아구장법, 과저, 또 다른 과저, 수과저, 노과저, 치저, 납조저, 무김치, 파김치, 동치미, 향과저, 겨울 나는 갓김치 |
장류(11) | 즙저, 즙장만들기, 또 다른 즙저, 조장법, 또 다른 조장법, 또다른 조장법, 청근장, 기화장, 전시, 봉리군전시방, 수장법 |
식해(1) | 어식해 |
과정류(5) | 동아정과, 생강정과, 전약법, 전곽법, 다식 |
탕류(6) | 서여탕, 전어탕, 분탕, 삼하탕, 황탕, 삼색어아탕 |
국수(1) | 습면법 |
저장(2) | 생가지, 배 |
기타(8) | 더덕좌반, 육면, 두부, 엿만들기, 타락, 장육법, 모점이 전계아법 |
파종(5) | 오이, 생강, 머위, 참외, 연근 |
참고 : 경상도의 식생활문화, 윤숙경 교수
참고 : 2008 안동음식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학술세미나, 윤숙경 교수
참고 : 2008 안동음식문화산업 활성화를 위한 학술세미나, 윤숙경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