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육아/교육

  • 분야별 정보
  • 인구정책
  • 육아/교육
  • 글자크기 크게조정
  • 글자크기 작게조정
  • 본문인쇄
  • 페이스북 공유
  • 트위터 공유

육아/교육

육아/교육의 지원항목, 지원대상, 지원내용, 담당부서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지원항목지원대상지원내용담당부서
아동수당 지원
  • 만 7세 미만의 아동(0~83개월), 취학여부와 관계없이 지급
  •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한 아동으로서, 주민등록법에 따른 주민등록번호가 정상적으로 부여된 아동
  • 아동 1명당 매월 10만원
보육아동가족과 보육정책팀
(☎840-5249)
가정양육수당 지원
  • 어린이집·유치원·종일제 아이돌봄서비스 등을 이용하지 않고 가정에서 양육되는 영유아로서 초등학교 미취학 86개월 미만 전 계층 아동
    • (양육수당) 요건을 충족한 영유아 전 계층
    • (장애아동 양육수당) 요건을 충족하면서 장애인으로 등록된 영유아
    • (농어촌양육수당) 요건을 충족하고 농어촌 지원 자격 요건을 갖춘 영유아
  • 월령별로 10~20만원 월 정액지원(월.인)
보육아동가족과 보육정책팀
(☎840-5274)
보육료 지원 (연장보육료 포함)
  •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영유아로 국적과 주민등록번호를 유효하게 보유하고 있는 자
    ※ 지원제외대상
    • 아동복지시설(생활시설) 재원중인 아동 중 ’19. 1. 1. 이후 출생아동 및 방과 후 아동
    • 가정위탁 보호 중인 입양대상 아동 중 ’19. 1. 1. 이후 출생아동
    • 유치원을 이용하여 유아학비 지원받고 있는 아동
    •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상 특수교육 및 특수교육 관련서비스를 지원 받고 있는 아동
    • 가정·농어촌·장애아동양육수당을 지원받고 있는 아동
    • 종일제아이돌봄서비스를 지원받고 있는 아동
    • 해외에 체류하는 아동(출국 후 91일째 되는 날 보육료 지원 자격 중지)
  • 지원방식 : 부모보육료는 결제권자가 국민행복카드로 결제하면 해당 어린이집으로 입금
    ※ 국민행복카드는 기발급된 아이행복카드, 아이사랑카드도 포함한 보육료 지원카드를 의미함
  • 지원단가(2023.3.기준)
    • 만0세반 : (기본보육)499,000원/(야간)499,000원/(24시)748,500원
    • 만1세반 : (기본보육)439,000원/(야간)439,000원/(24시)658,500원
    • 만2세반 : (기본보육)364,000원/(야간)364,000원/(24시)546,000원
    • 만3~5세반 : (기본보육)280,000원/(야간)280,000원/(24시)420,000원
  • 산정방식
    • 입·퇴소 아동 : 입소 또는 퇴소한달의 보육료는 '일할계산'하여 지급(출석일수가 0일인 경우 미지원)
    • 계속 재원 중인 아동 : 계속 재원중인 아동은 출석일수를 3개 구간으로 구분하여 지원(출석일수가 0일인 경우 미지원)
    ※ 출석일수별 보육료 지원기준
    • 출석일수가 11일 이상 : 월 부모보육료 단가의 100%
    • 출석일수가 6 ~ 10일 : 월 부모보육료 단가의 50%
    • 출석일수가 1 ~ 5일 : 월 부모보육료 단가의 25%
보육아동가족과 보육정책팀
(☎840-5274)
누리과정 차액 보육료 지원
  • 관내 민간·가정, 정부미지원 사회복지법인, 법인·단체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만3~5세 아동
  • 아동의 해당 어린이집 보육료 수납액과 정부지원 보육료의 차액만큼 지원
보육아동가족과 보육정책팀
(☎840-5274)
육아종합지원센터 운영
  • 안동시에 거주하는 영유아 및 보호자, 안동시 소재 어린이집의 장 등
  • 어린이집 지원
    • 어린이집 보육컨설팅지원, 대체교사 지원 및 관리 취약보육에 대한 정보의 제공 및 지원
    • 어린이집 재원 영유아를 위한 체험 및 놀이 공간 제공
  • 가정양육 지원
    • 부모교육 및 상담, 부모-자녀 체험프로그램 운영
    • 도서·장난감 등 제공 또는 대여
    • 시간제보육사업, 문화행사 등
  • 기타
    • 보육 및 양육에 관한 정보 수집 및 제공
    • 정보지, 자료집 발간 등 보육 및 양육관련 홍보
보육아동가족과 보육정책팀
(☎840-5276)
육아종합지원센터
(☎852-6060)
장난감도서관 운영
  • 안동시에 거주하는 영유아 및 보호자, 안동시 소재 어린이집의 장
  • 연회비
    • 일반회원 20,000원
    • 시설회원 50,000원
    • ※ 연회비 면제대상
      (생계급여수급권자, 국가유공자, 중증장애인,한부모가정, 다문화가정 다자녀(세자녀 이상)가정
보육아동가족과 보육정책팀
(☎840-5249)
아이누리장난감도서관
(☎841-1004)
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통합 운영
  • 안동시민 누구나
  • 가족돌봄나눔사업
  • 가족교육
  • 가족상담
  • 가족문화
  • 지역사회연계사업
  • 다문화가족 특성화사업
건강가정.
다문화가족지원센터
(☎853-3111)
(☎823-6008)
아이돌봄 지원
  • 양육공백이 발생한 가정의 생후 3개월 이상 ~ 만12세 이하 아동
  • 영아종일제서비스
    • 정부지원율(가형) 85%, (나형) 60%, (다형) 15%
    • 정부지원시간 : 월 60시간~200시간 이내
  • 시간제서비스
    • 일반형 기준 정부지원율
      • A형(2014. 1. 1. 이후 출생) : (가형) 85%, (나형) 60%, (다형) 15%
      • B형(2013.12.31. 이전 출생) : (가형) 75%, (나형) 20%, (다형) 15%
    • 정부지원 시간 : 연 840시간 이내
보육아동가족과 가족지원팀
(☎840-6216)
(☎853-3111)
공동육아나눔터 운영
  • 만 18세 이하 자녀를 둔 가정 누구나
  • 자녀 돌봄을 위한 안전한 공간 제공
  • 부모와 자녀가 함께하는 부모참여형 프로그램 운영
  • 공동육아 지원 : 지역사회 주민이 함께하는 품앗이 돌봄 공동체를 구성·운영하며 이를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 수행
  • 놀이활동 지원 : 아이들의 성장과 발달 단계에 맞는 다양한 놀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놀이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교구 등을 지원
공동육아나눔터 1호점
(☎843-9897)
공동육아나눔터 2호점
(☎859-6465)
드림스타트사업(아동통합사례관리)
  • 만 12세 이하(초등학생 이하) 취약계층 아동 및 가족, 임산부
  • (기본대상)기초수급자, 차상위계층, 저소득한부모가정
  • (특화대상)사회적으로 취약한 법정한부모 외 한부모가정, 다문화, 조손가정
  • 대상자의 복합적 욕구를 파악하여 건강, 인지, 정서 등 종합적 서비스 지원 및 주기적인 모니터링 실시를 통한 사례관리
보육아동가족과 
드림스타트팀
(☎840-5192~5)
다함께 돌봄사업
  • 소득과 관계없이 돌봄이 필요한 만 6세 ~ 만 12세 초등학생
  • 맞벌이가정, 한부모가정의 부 또는 모가 일하는 경우, 다자녀가구, 저학년 우선 지원
  • 아동보호, 숙제지도, 독서지도, 프로그램 연계 운영 등
꿈자람 마을돌봄터
(☎841-5191)
여성가족과
드림스타트팀
(☎840-5191)
지역아동센터 운영
  • 만18세 미만 방과 후 돌봄취약 아동(정원의 60%이상) 및 일반 아동(정원의 40%이내)
  • 기초생활수급가구, 한부모 등 기준 중위소득 100%이하 아동 우선보호
  • 아동보호 및 아동급식 제공
  • 기초학습, 예체능 활동지도, 문화 체험캠프 및 지역사회 연계프로그램 등
  • 정서지원, 사회성교육 및 인성교육 등
보육아동가족과 
드림스타트팀
(☎840-5245)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 만 12세 이하 어린이
    ※ 일부 백신의 경우 지원 대상 연령 상이함
  • 국가예방접종의 접종비용(백신비 및 시행비) 전액지원
보건소
감염병대응과
감염병대응팀
(☎840-5943)
저소득층 기저귀.조제분유 지원
  • 기저귀
    • 만2세 미만의 영아를 둔 기초생활보장, 차상위, 한부모가족 수급가구
    • 만2세 미만의 영아를 둔 기준중위소득 80%이하의 장애인가구
    • 만2세 미만의 영아를 둔 기준중위소득 80%이하의 다자녀(2인 이상)가구
  • 조제분유
    • 위 대상 중 산모가 질병·사망으로 모유수유가 불가능한 경우로 한정
    • 항암·방사선치료, 에이즈, 마약 및 정신이상중독 등
    • 아동복지시설, 공동생활가정, 가정위탁아동, 한부모(부자, 조손)가정
  • 기저귀 구매비용 정액 지원(월 64,000원, 3개월 단위로 바우처 포인트로 지급)
  • 조제분유 구매비용 월 86,000원 지급(3개월 단위로 바우처 포인트로 지급)
보건소
건강증진과
모자보건팀
(☎840-5964)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의료비 지원
  •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 가구 미숙아 및 선천성이상아
  • 둘째아 이상 신생아는 소득수준 관계없이 지원
    ※ 첫째로 출생한 쌍둥이는 다자녀로 인정
  • 대상구분
    • 미숙아 : 임신37주미만 또는 체중 2천500그램 미만 출생아 중 출생 후 24시간 이내 신생아중환자실 입원한 미숙아
    • 선천성이상아 : (2020.9.1. 이후 출생아) 출생 후 1년 이내 선천성이상 질병코드 Q로 진단받고 치료를 위하여 출생 후 1년 이내에 입원하여 수술한 경우 (2020.8.31. 이전 출생아) 출생 후 28일 이내 선천성 이상 질병코드 Q로 진단받고 치료를 위하여 출생 후 6개월 이내에 입원하여 수술한 경우
  • 전액본인부담금 및 비급여(급여 중 일부 본인부담금 제외)
보건소
건강증진과
모자보건팀
(☎840-5996)
의료수급권자 영유아 건강검진
  • 만 6세 미만 의료수급권자 영유아
  • (내용) 만 6세 미만 영유아의 건강검진비 지원
  • (항목) 5개 분야 24개 항목을 검진하고 상담 실시
    • 각 월령에 특화된 문진, 진찰, 신체계측 실시
    • 발달평가 및 상담(1, 2차 제외)과 9종의 건강교육 실시
보건소
건강증진과
지역보건팀
(☎840-5971)
영유아 발달장애 정밀검사비 지원
  • 영유아건강검진 대상자 중 의료급여수급권자와 건강보험료 부과금액 하위 50% 이하인 자로서 영유아 검진결과 발달평가에서 ‘심화평가 권고’로 평가된 영유아
  • 발달장애 정밀검사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검사 및 진찰료에 대한 지원 ※ 치료비, 장애진단서 발급비용, 상급병실료 차액, 특진비 등은 제외
보건소
건강증진과
지역보건팀
(☎840-5971)
입양아동 의료급여 지원
  • 「입양특례법」에 따라 국내에 입양된 18세 미만의 아동(20세 미만의 중· 고교 재학생 포함)
  • (내용) 입양아동 본인에 한해 1종 의료급여 부여(그 가족은 제외)
  • (방법) 사전지원방식, 사후지원방식(정산진료비 입금) 중 선택한 방식 적용
    • 사전지원방식 : 입양아동을 건강보험증에 기재하되, 수권자임을 표시하여 의료이용 시 본인부담금 면제
    • 사후지원방식 : 입양아동을 건강보험과 함께 통합관리하고, 의료이용 시 납부한 본인부담금을 사후 환급
사회복지과
사회보장팀
(☎840-5214)
부모급여
  • 만0세-1세아동
    ('22.1월생부터 해당)
    • 영아수당 지급 대상자 부터 적용
  • 만0세 아동 월 70만원
  • 만1세 아동 월 35만원
    • 24년에는…
      만0세 월 100만원
      만1세 월 50만원으로 인상
      (매월 25일 지급)
보육아동가족과 보육정책팀
(☎840-5274)

현재 페이지의 정보 및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