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년 시절의 양반, 홀어머니와 형제들 사이에서 가난을 이겨내고 안동의 사표로 성공한 인물, 교육과 학문의 도시 안동의 이미지를 대표함, 안동 문화의 핵심인 유교정신을 배경으로 함
정부인 안동장씨와 제비원 연이낭자를 모티브한 인물, 뛰어난 눈썰미와 요리솜씨, 당당하면서도 자비로운 마음씨를 갖고 현실을 개척하는 소녀, 안동 불교문화의 자비정신을 바탕에 둔 설정, 반가음식의 전통을 갖고 있는 맛의 도시 이미지 형상화
안동의 시조(市鳥), 반가운 소식을 알려주는 우체부(메신저)역활, 안동 서민의 소박한 소망을 전달하는 민속신앙배경, 무뚝뚝한 안동인의 이미지를 보완해주는 장난꾸러기 익살꾼, 안동의 해학을 형상화
처사문학을 대표한 문학자이자 정치가인 농암 이현보의 모티브 노인, 조언자(helper), 풍류시인의 풍모를 보여주는 안동 처사의 이미지 형상화, 신명나는 문화도시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