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 메뉴

수돗물전기분해

수돗물 전기분해

전기분해기의 작용원리
  • 전기분해기 용도 전기전도를 일으키는 물질이 있는 수용액에 전류를 통하면 수용액중의 양·음이온이 각각 음극 양극에 모 여 화학적인 전기석출물이형성되는 현상을 관찰하는 실험기구로 수질 실험기구가 아닙니다.
    • 석출물 : 용액에서 고체 를 분리해 내거나 화합물을 분석해서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분리해 낸 물질
  • 전기분해기 구성 전기분해기는 사각형으로된 몸통양쪽에 각 2개씩의 전극봉이 있으며 이 전극봉은 철, 알루미늄을 주성분 으로한 아연, 망간등 금속물질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전기분해기 작용 전기분해기를 전해질이 들어있는 수용액에서 작동시키면 수용액중의 전해질을 분해 시킴과 동시에 전극 봉의 금속물질을 녹게하여 이들이 서로 이온결합함으로써 화합물을 발생시킵니다.
    • 전해질 : 물이나 기타용매에 용해 되어 전기전도를 일으키는 물질)
전기분해시 침전물 발생이유

돗물, 시판생수, 약수등 먹는물에서 침전물이 생기는 것은 물속에 꼭 있어야 할 경도성분이 들어있기 때문입니다. 물소의 경도성분은 우리몸에 활력소를 공급하고 물맛을 좋게하는 미네랄 성분으로 경도가 10-100ppm정도 들어있는 물이 살아있는 좋은 물입니다. 이러한 미네랄성분은 전기분해기를 작동시키면 전기전도를 일 으키는 물질이 되어 전극의 철, 알루미늄등을 용해시킴과 동시 에, 이들과 화학반을을 일으키므로써 색깔을 띈 침전물이 발생 하여 물속의 수소와 산소등 기체활동에 의해 물위로 떠오르게 됩니다.

화합물의 색도변화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화합물의 색도변화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분석결과
철(Fe+3) + 염소(3Cl) = 염화철(FeCl3) 흑색 또는 갈색
철(Fe+3) + 수산(2OH) = 수산화철(Fe(OH)2) 적갈색
망간(Mn+2) + 염소(2CI) = 염화망간(MnCl2) 적색
염화철(Fecl2) + 물(H2O) = 염화철(FeCl2H2O) 오렌지색

정수기를 통과한 물은 물속의 경도성분이 제거되어 증류수 상태가 되므로 침전물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R/O(역삼투압)정 수기에는 막(멤브레인)이 설치되어 있어 수돗물을 통과시키면 미네랄 성분인 경도성분이 대부분 제거되어 병원에서 사용 하는 증류수와 같게 됩니다. 이러한 물은 물속에서 전해질 역할을 하는 경도성분이 없기 때문에 전기 분해기를 작동시키면 전극봉의 철, 알루미늄이 미 량으로 녹아나오나, 결합할 물질이 없으므로 침전물도 발생하지 않습니다.

정수기 판매상술은 과학을 위장한 트릭 상술입니다.
  • 일부 악덕 정수기판매업자들은 정상적인 먹는물에서 당연히 발생되어야 할 침전물을 중금속 물질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 라고 허위선전하여 소비자들로 하여금 수돗물을 불신케함으 로써 상대적으로 정수기 구매 심리를 자극합니다.
  • 정수기게약!1992년에 발간된 일본의 주간지 『주간춘추』에서 과학을 위장한 트릭 상술이라고 크게 보도된 바 있습니다.
전기분해 실험을 통한 분석

수돗물, 대림생수, 시판생수, 지하수, 우유, 정수기통과수, 증류수를 각각 10분간 전기분해한 후 침전물 발생 및 색도변화 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물속에 없던 중금속물질이 발생하는 것은 전기분해기의 전극봉에 붙어 있는 금속물질이 용해되었기 때문입니다. 전기분해전 각종 먹는물을 검사한 결과 중금속이 검출되지 않았음에도 전기분해후 철, 알루미늄등이 검출되는 것을 볼 때 , 전기분해기의 전극에 함유된 물질이 전기분해 작용으로 용해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증류수나 정수기 통과수와 같이 전도도가 낮은 물일수록 철, 알루미늄등 금속물질이 적게 검출되는 것은, 증류수나 정수기 통과한 물속에는 전해질인 칼슘, 마그네슘등의 미네랄성분이 거의 없다는 것을 입증해 주고 있습니다.

먹는물 종류별 중금속 검출변화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먹는물 종류별 중금속 검출변화의 구분(증류수, 정수기 통과수, 고산계통 수돗물, 시판생수(석수), 대림생수, 낙동강계통 수돗물, 지하수), 분석결과(전기분해전, 전기분해 10분)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분석결과
전기분해전전기분해 10분
증류수 0.012 0.00 0.00 0.016 19.89 6.48
정수기 통과수 0.029 0.00 0.00 0.039 36.31 6.22
고산계통 수돗물 0.130 0.00 0.00 0.170 71.13 6.15
시판생수(석수) 0.200 0.00 0.00 0.230 132.80 6.67
대림생수 0.230 0.00 0.00 0.290 138.11 6.67
낙동강계통 수돗물 0.370 0.00 0.00 0.500 252.20 7.48
지하수 0.970 0.00 0.00 1.660 552.50 7.31
  • 전기분해를 하면 철, 알루미늄외에도 아연, 망간, 니켈, 바륨, 카드뮴, 비소등이 검출됨
  • 경도 성분은 전기분해 시간에 따라 점점 줄어들며 이는 극봉에서 녹아나온 금속물질과 결합하여 침전물로 형성되었기 때문입니다. 물의 전기분해로 발생되는 침전물은 물 속에 녹아있는 경도성분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아래표와 같이 전기분해를 오래 할수록 경도가 낮아지는 것은 경도성분이 침전물로 형성되었기 때문임을 알 수 있습니다.
정화에 필요한 물의 양에 대한 표

모바일환경에서는 좌우로 이동하여 내용(표)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정화에 필요한 물의 양의 구분(증류수, 정수기 통과수, 고산계통 수돗물, 시판생수(석수), 대림생수, 낙동강계통 수돗물, 지하수), 분석결과(전기분해전, 전기분해 10분)를 안내하는 표입니다.
구분분석결과
전기분해전전기분해 10분
증류수 0.012 0.00 0.00 0.016 19.89 6.48
정수기 통과수 0.029 0.00 0.00 0.039 36.31 6.22
고산계통 수돗물 0.130 0.00 0.00 0.170 71.13 6.15
시판생수(석수) 0.200 0.00 0.00 0.230 132.80 6.67
대림생수 0.230 0.00 0.00 0.290 138.11 6.67
낙동강계통 수돗물 0.370 0.00 0.00 0.500 252.20 7.48
지하수 0.970 0.00 0.00 1.660 552.50 7.31
  • 정수기 판매업자들의 수돗물 전기분해는 한낱 위장술에 불과하며, 전기분해 실험을 통해 그들의 허위성을 알수 있습니다. .

맑은물관리과 054-840-3723

현재 페이지의 정보 및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